티스토리 뷰

두부졸졸졸뛰뛰빵빵빵

엘크와 무스

­­­ ­ 2020. 6. 30. 08:20



엘크도 무스도 뿔이 커다란 동물이란 건 알겠는데,

동알못인 저는 서양동물들이 익숙하지가 않다는 말이죠 ㅜㅜ


TJ가 뿔이 큰 어떤 동물을 좋아해서

이 동물 모습의 액자, 페인팅, 장식품 등을 좋아해요.


근데 제가 뿔이 큰 동물이라는 건 아는데, 이게 엘크인지 무스인지 잘 몰라서,

생각난 김에 구글링을 좀 해봤어요.



잎이 뾰족한 침엽수와 잎이 넓은 활엽수가 있으면

엘크의 뿔은 침엽수 잎이고, 무스의 뿔은 활엽수 잎이에요.


엘크의 뿔은 삐죽삐죽하고, 무스의 뿔은 넙데데한 면적이 있어요.

또 엘크의 뿔은 이마 위쪽에서 시작되는 반면

무스의 뿔은 관자놀이에서 나오는 것 같더라고요.


굳이 순서로 따지자면

엘크: 눈 ㅡ> 귀 ㅡ> 뿔

무스: 눈 ㅡ> 뿔 ㅡ> 귀

이런 순서처럼 보였어요.


아, 그리고 뿔을 떼어놓고 얼굴을 보면

엘크는 사슴같이 생겼고, 무스는 소처럼 생겼어요.


이쯤에서 사진으로 보자면



↑ 요건 엘크.
귀 위쪽으로 이마 한 가운데서 침엽수스러운 뿔이 삐죽삐죽 자란다.



↑ 요건 무스.
관자놀이 쯤의 위치에서 넙데데한 활엽수스러운 뿔이 옆으로 자란다.




TJ가 좋아하는 동물은 무스가 아닌, 엘크였습니당 ㅋㅋ



마찬가지로 제법 헷갈리는 부엉이와 올빼미




부엉이의 얼굴은 ㅂ같이 생겼고, 올빼미의 얼굴은 ㅇ같이 생김 ㅋㅋ

욕 아니고요.. 한글 자음.. ㅎㅎ

제가 그림에 별로 소질이 없는지라.... ㅜㅜ





+) 다음에서 엘크라고 검색하면 볼 수 있는 화면. (출처는 사진 속에)



저는 북아메리카에 살고있는데여.... 여기서도 엘크는 엘크라고 부르는데여....????

저 사진 속 동물은 누가 봐도 엘크가 아닝미??

왜 북미에서는 엘크를 보고 무스라고 부른다고 말씀하시는거죠??

여기서도 엘크를 엘크라고 부르고 무스를 무스라고 부릅니다-

지어내지 마셈 ;ㅅ;


그리고 설명 속에 학명이라고 나온 Alces alces는 엘크가 아니라 무스임.

엘크의 학명은 Cervus canadensis 임.

엘크를 검색했는데 왜 무스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거죠??



요약하자면

moose: 뿔이 넙데데한 동물. 북미에서는 (무스니까) 무스라고 부른다 (유럽에서 오히려 이걸 "엘크"라고 부름)

elk: 뿔이 위로 삐죽삐죽한, 위 백과의 사진 속에 나온 동물. 북미에서는 (엘크니까) 엘크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와피티"라고 부름)


유럽 사람들이 무스를 보고서 왠지 모르지만 엘크라고 부르는거였고,

무스와 엘크는 서로 다르게 생김. (위에서 이미 봤지만 뿔 모양이나 위치만 봐도!!)



다음에서 엘크라고 검색했는데

한글로 엘크라고 썼으면서 영어로는 무스라고 써놨고 ㅋㅋㅋㅋ

사진 속에 나오는 동물은 엘크가 맞고

그 아래 설명은 죄다 무스에 대한 설명.



북아메리카에서 사람들이 어떤 동물을 보고 무스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것이 무스이기 때문임 ㅋㅋ

유럽사람들은 무스를 보면 무스라고 불러주지 않고 엘크라고 부른다고 함 (대체 왜 때무네?? ㅇ_ㅇ??)



아무튼 저 다음백과의 내용은 매우 혼란스러운 설명이 아닐 수 없다.



저번에 캐나다 전압 표준 규격도 다음만 엉터리로 적어놓은 데 이어 (전압에 관한 지난 포스팅을 보시려면 여기)

북미사람들은 엘크를 무스라고 부른다고 말하다니

신뢰를 또 조금 더 잃은 다음....



헷갈리지 않으려면 뿔이 어느 위치를 뚫고 나와서 어떤 모양으로 자라는지를 잘 확인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엘크는 사람으로 치면 이마의 위쪽 헤어라인(?)이 시작되는 곳에서 자라나오는 삐죽삐죽한 뿔,

무스는 관자놀이 (무스의 귀보다 아래)에서 자라나오는 넙데데한 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