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더하기_함수(숫자1, 숫자2) {
리턴값: 숫자1 + 숫자2
}
이렇게 코드를 써놓고
정작 테스트 함수에서
#1) 기대값 = 13
#2) 모의액티비티의_더하기_함수(1, 2) 를 실행하면 13을 리턴합니다
#3) 실제값 = 모의액티비티의_더하기_함수(1, 2)
#4) 두_값은_서로_같은가(기대값, 실제값)
이렇게 써놓으면 ㅋㅋ
이건 뭐 당연히 패스하는 거 아닌가요....
함수를 카피해서 모의 함수로 실행하더라도
원래 함수랑 똑같이 동작하는 걸 확인해야 유의미한 거 같은데
저렇게 2번 라인에서 내가 함수의 리턴값을 직접 써줘야하는거면
이 테스트에 무슨 의미가 있는거죠?? ㅠㅠㅠㅠ
함수가 지 스스로 뱉아내는 리턴값을 내가 예상하는 기대값이랑 비교하는 게 테스트가 아닌건가....
내 머릿속으로는
#1) 기대값 = 13
#2) 실제값 = 모의액티비티의_더하기_함수(1, 2)
#3) 두_값은_서로_같은가(기대값, 실제값)
이렇게 테스트가 진행되고
이 경우 기대값은 13, 실제값은 3으로
결과적으로 실패하는 테스트가 나오면 정확한 게 아닌가 싶은데
"1과 2를 더해서 13을 리턴합니다" 라고 개떡같은 리턴값을 적어놔버리면
그 이후에 13과 13을 비교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걸까요..
실제 코드에서는 1+2를 3이라고 리턴할텐데 말이에요.
내가 빠가사리라서 이해를 못하고있는 거 같은데
이게 어디서 실제 코드를 실행하고 테스트 해주는건지 이해를 못하겠음 ㅠㅠ
잠도 못 잤는데 새벽 5시가 돼버림 이게 뭐야 진짜 ㅡㅡ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