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서나 그 이외라도 글 같은 걸 읽을 때 etc. 라는 걸 종종 보게 되는데,


한국어로 읽을 땐 그냥 "기타 등등" 이라고 읽으면 되고

영어로 읽을 땐 원단어 그대로 et cetera 라고 읽으면 돼요.


한국어로 굳이 발음을 적자면 '엣 세터라', 혹은 '엣 세더라'와의 중간 정도가 되는 같아요.


근데 원어민들 중에 이 단어를 잘못 읽는 사람들이 의외로 좀 많은데,

그 사람들의 대부분은 이 아니라 ' 세터라' 라고 읽더라구요. ec cetera 이렇게요.


의외로 잘못 읽는 사람이 제법 많아서 좀 신기했고,

또 남이 잘못 읽는 걸 미친듯이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ㅋㅋㅋㅋ


약간 뭐랄까 다른 사람이 기본 마춤뻡을 밤복적으로 틀리면 불편하게 느끼는 것과 비슷한 걸까요 ㅋㅋㅋㅋ

예를 들면 저는 다른 맞춤법은 크게 신경쓰이지는 않는데, 유독 던지와 든지를 사람들이 잘못 쓰는 게 신경이 쓰이거든요.

(이걸 맞게 쓰는 사람들보다 틀리게 쓰는 사람들의 수가 훨씬 더 많아서 더 슬픈.... ㅜㅜ)

아무튼 사람마다 이렇게 신경쓰이는 게 다른 것처럼요 :)


제 주변에는 ec cetera 라고 발음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ET cetera 이라고 고쳐주는 사람들이 몇 있어서 ㅋㅋ

그 중 한 명은 거의 ec 감지기 수준이에요 ㅋㅋ 누가 "엨!" 하고 잘못 읽는 순간 눈빛이 변함 ㅋㅋㅋㅋ 삐씽~  (-_-^)




또 흔하게 보이는 라틴어 어원의 약어 중 하나는 vs.인데, 이건 versus 라고 읽으면 돼요.





그리고 이건 좀 다른 이야기이지만,

문서를 작성하면서 예시를 쓸 때

저는 늘 (ex. 어쩌구 저쩌구) 이렇게 ex를 쓰고,

문서를 소리내어 읽을 땐 for example, 이라고 읽었거든요.


그리고 저의 boss는 (e.g. 어쩌구 저쩌구) 이렇게 e.g.를 쓰시거든요.

근데 가만 생각해보면 저도 e.g.라고 되어있는 문서를 엄청 많이 봤는데,

매번 저 혼자서 이그잼플 의 eg 라고 생각하고 뭔가 엄청 자연스럽게 넘겨왔던 것 같은 너낌(?)이 문득 들어서 ㅋㅋㅋㅋ


찾아봤어요. g가 어디서 온건가 하고요.


exempli gratia 라는 라틴어의 약자였음 ㅋㅋㅋㅋ

뜻은 똑같아요. 예를 들어 라는 뜻인데

이그잼플의 eg는 아니고 ㅋㅋㅋㅋ 라틴어구의 앞글자들이었음.



라틴어 약어를 획득했습니다 +1



제가 자주 쓰는 다른 라틴어 약어들은 i.e. 와 cf. 정도가 있는 것 같아요.

즉 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id est 와

비교, 참조하라는 의미로 쓰이는 confer 예요..



제가 자주 쓰지는 않지만 생활하면서 흔하게 보이는 라틴어는 lb 인데, 파운드 단위에서 쓰여요.

라틴어로 libra 라는 단어에서 왔어요.



또 No. 라는 약어가 보통 번호를 말할 때 많이 쓰이는데,

No.1 이런 식으로 쓰고 number one 이라고 읽거든요.

근데 number에는 o가 들어가지 않는데 항상 저 o가 어디서 왔는지 궁금했었는데,

역시 라틴어의 numero 에서 온 거였어요.




생활 속에서 쓰는 몇몇 라틴어 약어들에 대한 글이었어요.

끝-

댓글